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Java
- CRUD
- HTTP Status 404
- 부트스트랩
- SQL
- Bootstrap
- Oracle DB
- 답변형 게시판
- JSP
- 제약조건
- alias
- tomcat
- distinct
- jQuery
- group by
- sql developer
- Oracle SQL
- 모조칼럼
- rownum
- ||
- 성적프로그램
- HTML
- HTTP Status 500
- 이클립스
- 한글 인코딩
- oracle
- JavaScript
- github
- git
- 과정평가형
목록JavaScript (4)
초급의 끄적거림
1. undefined - 단어 그대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값 -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은 상태에서 변수를 사용하려고할 때 개발자가 아닌 브라우저 엔진에서 자동할당하고 리턴해주는 값 2. null - undefined와 같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값 - undefined와 다르게 개발자가 명시해서 사용하는 것으로, 어떤 데이터 타입이 할당될지 모를 경우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null을 부여하여 의도하여 사용하는 존재하지 않는 값 - null은 참조할 필요가 없는 값에 할당하게 되면 특정 위치에 대한 참조가 제거 되기 때문에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데에 사용하여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음
HTML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작성하는 2곳 1. head 태그 2. body 태그 1. head 태그에 작성할 경우 - 브라우저가 body 태그의 HTML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먼저 해석하게 되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모두 해석하고 HTML 코드를 해석 하게 되면 웹페이지의 딜레이가 발생 2. body 태그에 작성할 경우 - body 태그 제일 하단에 태그를 작성함 - body 태그에 있는 HTML 코드가 모두 실행되어 화면이 구성된 후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기 때문에 페이징 로딩 속도를 비교적 빠름 때문에 별도의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닌 HTML 파일 안에서 스크립트 태그를 사용할 때는 body 태그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.
- 구조 : HTML - 표현 : CSS - 동작 : javaScript, jQuery 등 1) HTML의 개념 ⊙ 웹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이는 웹 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 ⊙ 3개 중 웹문서를 제작하는 기본 구조 2) CSS의 개념 ⊙ 기존의 HTML에 다양한 모양을 추가하거나, 변경하여 웹사이트에 통일감을 부여하고 글자의 크기나 모양, 줄간격 등을 자유롭게 제어하는 언어 → 웹 문서의 모양 표현 ⊙ 기본 구조에 디자인을 얹는 것 3) JavaScript ⊙ 웹문서를 html를 이용하여 정보를 보거나 웹 문서끼리 연결하는 것 외에도 기능적인 요소를 위해 사용 ⊙ 웹 문서에 제공하는 액션에 집중 → 움직임을 만듦
[01] 자바스크립트의 기본문법 JAVASCRIPT - interpreter 방식의 스크립트 언어 - Server Side Interface 실행 - On Server 실행 : JSP, ASP, PHP - 변수의 자료형이 없다 → boolean, int, double, char, String 등 - 변수 선언 형식 : var 변수형 - 함수 선언 형식 : function 함수명(){} - 대입되는 값의 형태에 따라 자동으로 변수의 자료형이 결정된다 - 변수 선언하지 않아도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- 함수의 리턴형이 없다 ( 리턴값은 있지만 !!! 리턴값의 자료형이 존재하지 않음)\ - 이벤트를 발생시켜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대부분 실행 된다 - 종결문자 ; - 주석표시 : // , /* 여러줄 주석*..